본문 바로가기
알면 좋은 것들

직육면체 부피 공식 및 겉넓이 공식 구하는 방법

by 처리공방 2023. 3. 1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빠와 딸입니다
오늘은 직육면체 부피 공식과 직육면체 겉넓이 공식을 활용해서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직육면체는 입체도형으로 부피와 겉넓이를 따로 구할 수 있습니다
각각 구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또 여러가지 방법으로 풀 수 있습니다
일단 부피는 2가지 방법으로
겉넓이는 3가지 방법으로 설명을 할까 합니다
그럼 어떻게 하는건지 자세히 보겠습니다

직육면체 부피 공식 구하는 방법 2가지

직육면체는 입체도형으로 평면도형하고는 비슷하면서 조금 다릅니다

생각보다 쉽게 풀 수 있는 단원이지만

여기서 대각선으로 짤리던가 응용이 되면 조금 머리를 써야 합니다

하지만 제가 알려드리는 기본적인 내용만 잘 익히면 응용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1. 첫번째 방법은 가로 곱하기 세로 곱하기 높이로 구할 수 있습니다

 

2. 두번째 방법으로는 밑넓이 곱하기 높이로 구할 수 있습니다.

 

둘 다 같은 원리입니다. 여기서 본인이 편안한쪽으로 외우고 문제를 꼼꼼히 읽고 적용해서 푸시면 됩니다.

이렇게 보면 평면도형에서 사각형 넓이 구하는 공식에서 높이만 곱했다고 생각하고 이해를 하면 크게 어려운 문제가 아닌 걸 알 수 있습니다.

직육면체 겉넓이 공식 구하는 방법 3가지

처음 배우는 학생들은 사실 부피는 쉽게 할 수 있지만

겉넓이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 이유가 공식도 3가지나 있고 이해가 어느정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여기서 두가지는 할 줄만 알고 있으면 되고 한 가지만 주로 연습하시면 좋습니다. 

 

1. 전개도를 봤을때 면이 6개가 있습니다 이 면을 각각 다 따로 구한 후에 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2. 서로 같은 면이 두개씩 있으니 한 면을 구하고 또 다른 면을 구하고 또 다른 면을 구한 후에 곱하기 2를 하시면 됩니다

(1면 + 2면 + 3면) 곱하기 2를 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교과서나 문제집에 보면 이 방법을 많이 알려줍니다.

 

3. 전 이 방법이 좋은거 같습니다

옆넓이 + 밑넓이 곱하기 2로 구하면 됩니다.

옆넓이 구하는 방법은 밑면의 둘레 곱하기 높이를 하시면 됩니다. 

겉넓이는 언제나 전개도를 그려보고 판단한 후에 문제를 풀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처음에만 어렵지 많이 풀어보면 금방 나에게 어울리는 방법을 찾을수 있습니다

어떤가요? 생각보다 간단하죠?

하지만 학생분들이 처음 배울땐 어렵다고 느낄 수도 있고 겁을 먹을 수도 있으니 언제나 옆에서 응원을 해주세요

틀려도 괜찮아 알아가는 재미를 알아가는거라고

그리고 스스로 못한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면 

이번 단원은 누구나 다 풀 수 있는 단원입니다


그럼 이만 글을 줄이겠습니다

오늘은 직육면체 부피 공식과 직육면체 겉넓이 공식에 관련된 이야기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