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빠와 딸입니다
오늘은 관세 뜻과 기준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이번에 미국 대통령이 도널드가 되면서 많이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관세에 관련해서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처럼 일부 나라와 무역에 의존하는 나라는 많은 타격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가 예전에는 1000원에 사왔던걸 더 비싸게 사야 하는 경우도 있고 여러 가지로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관세 뜻
관세란 국가가 수입 또는 수출되는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주로 국가 경제를 보호하고 세수를 확보하기 위해 부과를 하고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보호 무역: 국내 산업 보호
- 재정 수입: 국가 세수 확보
- 교역 조정: 특정 국가와의 무역 불균형 조정
이걸 통해서 본인 나라 회사나 물건은 보호하고 다른 나라의 제품들의 가격을 높여서 비싸게 만들기에 잘 안 팔리게 하는 전략입니다
잘만 한다면 그 나라 경제가 살아날수도 있지만 반대로 잘못하면 무역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미국같은 경우 세계 1위 강대국이기에 이런 전략이 먹힐 예정입니다
물론 중국은 타격이 없겠지만 우리나라는 타격을 많이 입을지도 모릅니다.ㅠ
관세 계산법
관세는 보통 과세가격(상품 가격 + 보험료 + 운송료, CIF 기준)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관세 계산 공식

관세 = 과세가격 × 관세율
예제
- 상품 가격: $1,000
- 보험료: $50
- 운송료: $100
- 과세가격(CIF): $1,150
- 관세율: 10%
관세 = 1,150 × 10% = $115

부가세(VAT) 포함 관세 계산
한국에서는 관세뿐만 아니라 부가가치세(VAT)도 부과됩니다
- 부가세는 (과세가격 + 관세 + 개별소비세 등) × 10%
예제
- 관세: $115
- 부가세: (1,150 + 115) × 10% = 126.5
총 세금 = 관세($115) + 부가세($126.5) = $241.5

이렇게 계산이 되기에 원래 가격보다 20% 이상 비싸지기도 합니다
그러니깐 10만원자리 물건인데 관세가 붙으면 12만 원이 되기도 합니다
하나 두개만 살 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기업에서 수백수천수만 개의 물건을 산다고 하면 수치가 장난 아닌 게 됩니다 그럼 원자제 가격이 오라기에 인플레이션이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그럼 물가도 빠르게 오르겠죠
그러니깐 월급이 오르는 속도보다 물가가 더 빠르게 오를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이번 관세 제도는 좋은게 아닙니다.ㅠ
그럼 이만 글을 줄이겠습니다
오늘은 관세 뜻과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
'잡다한 지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kbo 프로야구 일정 정리 언제 어떤 행사가 진행이 될까? (0) | 2025.03.26 |
---|---|
전기차 유지비 계산 방법 비용 절약이 될까? (1) | 2025.03.05 |
2025년 가성비 스마트폰 추천 갤럭시 A시리즈 어떤걸 사용할까? (0) | 2025.02.27 |
김포 롤러장 롤러스케이트장 롤러몬 다녀온 후기 (0) | 2025.02.26 |
갤럭시 배터리 오래 쓰는 방법 5가지 이걸 몰랐네 (0) | 2025.02.25 |
댓글